본문 바로가기

개발자28

Position Position: static, relative, absolute, fixed ● 요소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며, 5가지의 position 종류가 있다. ● 각 타입마다 기준점이 다르기 때문에 기준점을 잘 생각해서 사용하여야 한다. ● top, left, right, bottom 을 사용하여 요소를 이동시킬 수 있다. ※ top을 기준으로 40px, left를 기준으로 30px 거리를 설정하고 싶다. ① static ▶ 모든 요소의 기본 position 값이다. 즉 모든 요소의 일반적인 상태는 static 이다. ② relative ▶ 기준점은 자기 자신이 있던 원래의 자리이다. ▶ float와는 다르게 relative는 부모, 형제요소가 집나간 요소의 자리를 잊어버리지 않는다.. 2022. 1. 21.
<footer></footer> Footer ▶ 문서의 최 하단부분의 구간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. 2022. 1. 13.
<main></main> main ▶ 본문에서 가장 핵심적인 섹션(문서의 중심부)에 사용되는 태그이다. 1개의 문서에는 반드시 1개의 main태그만을 사용할 수 있다. 다른 Sectioning Elements태그의 자식태그로는 사용될수 없다. ▶ 디자인적인 것은 div태그와 동일하다. 2022. 1. 12.
section, article, nav, aside Sectioning Elements ▶ 하나의 단원을 여는 태그이다. 반드시 자식태그로 헤딩태그(h1, h2 ~)가 있어야한다. ▶ div 태그와 디자인적으로 동일하다. nav : 문서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가 있는 섹션에 사용하면 좋은 태그이다. 주로 리스트형 태그(ul, ol)의 부모 태그로 많이 사용한다. section : 논리적으로 완결된 집합체에 해당되는 구간에 사용하는 태그이다. article : 기사나 블로그형식의 정보 전달을 하는 구간에 사용하는 태그이다. aside : 본문내용과 큰 연관이 없는 구간(사이드 바, 배너광고)에 사용되는 태그이다. 2022. 1. 1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