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array4

map & flatMap map ▶ Array객체의 메서드이다. ▶ 배열을 조건에 맞게 변형시켜 새로운 배열을 반환해준다. // 배열.map(콜백함수(아이템, 인덱스(옵션), 전체배열(옵션)) { } ) const number = [1, 2, 3, 4, 5]; const result = number.map((item) => item * 2); console.log(result); // [ 2, 4, 6, 8, 10 ] const change = result.map(function(item) { if(item % 2 ===0) { return item * 3; } }) console.log(change); // [ 6, 12, 18, 24, 30 ] flatMap ▶ Array객체의 메서드이다. ▶ 중첩된 배열을 하나의 배열로 통.. 2022. 6. 9.
find & findIndex find ▶ Array객체의 매서드이다. ▶ 배열에서 특정 값을 찾을때 사용하는 함수이다. ▶ 콜백함수에 테스트할 조건을 정의하면 된다. ▶ 만족하는 값을 찾으면 true에 해당되는 아이템 반환되며, 테스트는 바로 멈추기 때문에 그 뒤의 값은 테스트하지 않는다. ▶ 만족하는 값이 없다면 undefined를 반환한다. // 배열.find(콜백함수(아이템, 인덱스(옵션), 전체배열(옵션)) { } ) const arr = [ {name: 'John', age: 23}, {name: 'Sam', age: 30}, {name: 'Sammi', age: 26}, {name: 'Naomi', age: 27} ] // 1 const findNaomi = arr.find(function(item) { return it.. 2022. 6. 9.
forEach forEach ▶ Array객체의 메서드 중 하나이며 배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. ▶ for문과 흡사하여 배열에서는 for문 대신 사용한다. ▶ return값이 없다. ▶ 콜백함수를 인자로 받아서 배열의 아이템, 인덱스, 배열을 처음부터 끝까지 호출한다. // 배열.forEach((콜백함수(아이템, 인덱스(옵션), 전체배열(옵션)) {} ) const arr = [1, 2, 3, 4, 5]; arr.forEach(function(item, index, array) { console.log(item); // 1, 2, 3, 4, 5 => 아이템들을 하나씩 소환 console.log(index); // 0, 1, 2, 3, 4 => 인덱스를 하나씩 소환 console.log(array); // [ 1, 2,.. 2022. 6. 9.
Array(배열) Array ▶ 단순하게 같은 자료형을 나열한 것이다. 다른 자료형을 섞을 수는 있지만 그런 식으로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. ▶ 배열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, 생성자 함수와 대괄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. // 생성자 함수 // 1 let arr1 = new Array(2, 5, 9); console.log(arr1); // [2, 5, 9] // 2 let arr2 = new Array(3); // 길이가 3인 배열을 생성한다. console.log(arr2); // [ ] // 3 let arr3 = Array.of(1, 7, 8); console.log(arr3); // [1, 7, 8] // 4 let arr4 = [1, 2, 3, 4] let arrFrom = Array.from(arr4).. 2022. 6. 8.